티스토리 뷰

세계적으로 기후 문제로 자연재해가 끊이지 않습니다. 태풍 또한 잦아지고, 위력 또한 더욱 강력해진다고 합니다. 즐거운 여행이나 업무로 인해 비행기 탑승을 해야 하는 데 갑작스러운 태풍으로 비행기가 결항된다면 무척 당황스럽습니다. 또한 천재지변으로 인한 결항 원인비율이 80%이라고 합니다. 우선 실시간 비행기 결항부터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바로가기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바로가기

 

비행기 결항 여부를 확인하셔야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환불내용도 아래에 안내되어 있습니다.

 

각 항공사 실시간 비행기 운행 안내
대한항공 실시간 결항 확인 제주항공 실시간 확인
진에어 실시간 결항 확인 에어서울 실시간 확인
에어부산 실시간 결항 확인 티웨이항공 실시간 확인
아시아나항공 실시간 결항 확인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및 환불안내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및 환불안내

 

목차

  • 비행기 결항 조회 및 확인
  • 비행기 결항에 대한 기준
  • 비행기 결항 시 대처법

 

실시간 비행기 결항 안내 이미지
실시간 비행기 결항 안내 이미지

 

비행기 결항 조회 및 확인

누구나 갑작스러운 비행기 결항은 당황스럽고 막막한 심정입니다. 비행기 결항 확인하는 방법은 내가 예약한 항공사 홈페이지로 접속해서 확인하는 것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더 편한 방법으로 선택해서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1. 예약한 항공사 홈페이지 

대한항공으로 예약을 했다면 대한항공 홈페이지 접속해서 항공편 현황을 클릭합니다. 결항된 노선의 출발지와 도착지와 탑승일까지 입력 후에 조회를 해주시면 됩니다.

 

대한항공 결항 조회 바로가기
대한항공 결항 조회 바로가기

 

대한항공 홈페이지 이미지
대한항공 홈페이지 이미지

 

결항이 된 노선은 붉은색(네모박스)으로 결항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바로 아래에 있는 운항정보확인서를 클릭해서 확인하면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공권 예매 땡처리 항공권 저렴하게 알아보는 방법

최저가 항공권을 출발지와 도착지와 관계없이 또한 수수료 없이 예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가나 땡처리 항공권을 남들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게 확인하고 예약하고 싶다면 이번 포스팅에 집

o.grazia37.com

 

2.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지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지로 접속하면 여러 항공사의 실시간 운항 정보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예약한 항공사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서 확인하면 다른 항공사 예약이나 결항 확인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합니다.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접속해서 상단에 있는 국민편의정보 클릭 후, 실시간 운항정보를 눌러주면 내가 예약한 항공기 출발과 도착, 공항, 날짜, 항공사, 편명을 입력해서 검색합니다. 해당 항공기 현황에 대한 정보가 나오고 확인하고자 하는 항공기 결항 또는 지연에 대한 현황과 사유까지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비행기 결항에 대한 기준

항공기 운행에서 날씨는 최대의 중요 요소입니다. 천재지변(태풍, 번개, 장마, 폭설 등)으로 인한 기상 악화가 이어져서 재해가 우려된다면 항공기상청은 공항특보라는 것을 발표합니다. 항공기 안전에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있는 기상현상을 줄여서 표현한 것이 공항특보입니다. 항공기상청이 판단하는 공항특보에 대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7월 8월 떠나기 좋은 해외여행지 괌 오클랜드 뉴질랜드 코타키나발루

여름휴가만을 기다려왔다면 국내도 좋지만 그동안 미루고 미뤘던 해외여행으로 여름휴가를 떠나보는 건 어떠실까요? 긴 장마와 끝나면 이어지는 찌는 폭염에 대비하고 기대하고 기다렸던 여름

o.grazia37.com

 

1. 천둥번개 : 공항에 천둥번개가 치거나 또는 예상되는 경우

2. 태풍 : 강풍 및 호우 등 경보기준에 도달하거나 도달했을 때

3. 강풍 : 평균풍속이 10분간 25KT 이상이나 풍속 최대순간이 35KT 이상인 현상이 발생되거나 예상되는 경우

4. 대설 : 24시간 동안 산적설이 3cm 이상 발생되거나 예상되는 경우

5. 호우 : 강수량 30mm/h, 50mm/h 이상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경우

6. 급변풍 : 탐측장비로 탐측이 되었거나, 이륙 또는 착륙 시 15KT 이상의 정풍이나 배풍으로 변화했을 경우

7. 황사 : 1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400㎍/m³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시정 5,000m 이하가 예상되는 경우

8. 저시정 : 항공교통업무기관이나 운항 자간의 협의에 의해 기준치 이하일 때

저시정이란 해당 목표물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의 기준을 뜻합니다.

9. 구름고도 : 항공교통업무기관이나 기상관서, 운항자간의 협의에 의해 기준치 이하일 경우

 

 

비행기 결항 시 대처법

먼저 결항여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해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항공사업법 61조에 의하면 항공교통사업자(항공사)는 운송 불이행이나 지연, 위탁 수화물 분실이나 파손, 취소 항공권 대금환급지연, 항공권 초과 판매, 탑승 위치 정보 미제공 등 탑승자가 이로 인해 받는 피해가 명확할 시, 피해 구제 절차와 처리 계획을 수립 또는 이행하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천재지변의 경우에는 원하는 수준의 보상은 어렵습니다. 각 항공사바다 보상 범위는 다를 수 있으니 해당 항공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빠릅니다.

 

1. 천재지변으로 인한 결항

천재지변은 약 80% 정도에 해당하는 항공기 결항 원인입니다. 자연재해는 항공사에서도 어떻게 할 수가 없는 부분이라 피해에 대한 구제 대상은 제외됩니다. 별도의 보상은 받을 수 없지만, 항공권에 대한 요금과 미사용 된 요금을 환불해 주거나 대체 항공편을 제공받습니다. 본인이 예약한 숙박시설 및 차량 등 관광 티켓을 확인하여 계획에 지장이 없도록 환불이나 변경 신청하는 것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호텔이나 픽업차량 등 사정을 이야기하면 날짜 변경을 해주지만, 환불이 불가한 상품도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2. 지연, 연착 외 항공편이 결항

항공사에서는 대체 항공편의 출발 시간까지 긴 대기 시간에 맞춰서 식사, 숙박, 교통비, 바우처 등 제공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불가항력적 이유가 아닌 경우 금전적 보상금액을 받을 수 있는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국내여객 기준으로 3시간 이내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운임 20%이며, 3시간 이후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운임 30%입니다. 하지만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운임환급과 항공군이나 교환권을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국제여객 기준으로 운항거리 4시간 이내 구간에 4시간 이내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200달러 배상은 해줘야 하며, 4시간 초과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400달러 배상을 해줘야 합니다. 운항거리 4시간 초과 구간에 4시간 이내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300달러 배상이 되며, 4시간 초과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면 600달러를 배상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대체 항공편이 제공되지 못하면 해당 구간의 운임환급 및 600달러 배상을 해줘야 하며, 제공된 대체 항공편을 고객이 거부했을 때는 운임환급과 대체 항공편이 제공됐을 경우 조건에 맞는 배상을 받습니다. 

 

3. 비행기 정비 문제로 지연

2시간 이상의 운송지연에 관해서만 보상하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국내선은 국제선에 비해 비행시간이나 거리가 짧기 때문에 1시간 이상 운송이 지연돼도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항공사에서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대체 항공편을 제공, 비행기 환불이나 숙박, 식사권을 마련해 줍니다.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바로가기
실시간 비행기 결항 확인 바로가기

 

해당 항공사들이 규정을 상세하게 알려주고 보상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꼼꼼하게 보상 기준을 확인하여 보상을 요청해야 합니다. 천재지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항공기 결항 또는 지연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므로 미리 결항여부를 확인하여 더 큰 불편함을 겪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진정한 여행은 새로운 풍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가지는 데 있다. 

 

 

 

 

 

반응형